네이버 키워드 광고 TIP - ROAS/ROI 계산법
네이버 키워드 광고 TIP -ROI/ROAS 계산
안녕하세요, 온라인 사업하는 라이언 킴입니다.
2020년 7월이 마감되고, 8월이 시작이 되고 있네요.
시간이 정말 빠른거 같아요..
새로운 달이 시작이 되면, 항상 하는 일이 있죠?
바로 월 마감 정산/ 8월 예상 매출 목표를 계산 해봐야 하는데요.
저번달의 매출, 그리고 순이익 따져보고, 바탕으로 이번달 새로운 목표를 설정해서
이번달도 파이팅 있게 시작을 해야 합니다. ㅎㅎ
저도 다시 파이팅 해서, 8월 매출 정점 한번 찍기 위해 노력 하겠습니다 ㅎㅎ
오늘 공유 드릴 내용은, 영억이익 계산할때 필수적인 ROAS/ROI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를 드릴려고 합니다.
먼저 ROI/ROAS를 의미 에 대해서 알아 보도로 하겠습니다.
1. ROI(Return On Investment)
투자대비 이익율이라고 이해 할수 있습니다. 즉 투자비용 대비 이익율이 높으면 ROI가 높게 나오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광고비를 100만원 썻다고 할때, 이 비용을 제외 하고도 400만원이 남았다고 가정하면
400만원/100마원 = 4
4*100 = 400%
-> 이때 이 광고 ROI는 400%가 되는 것입니다.
2. ROAS(Return On Ad Spend)
광고 비용 대비 수익률이라고 이해 할수 있습니다.
흔히들 ROI랑 ROAS를 같은 의미라고 보시는 경우가 많은, 사실상 큰 차이가 있죠.
ROI = 이익/투자
ROAS = 수익/광고비
계산법의 차이만 보아도, ROI는 순수익을 계산한다고 보면, ROAS는 광고를 통해 얻은 수익을 계산 하는
것이죠.(스마트 스토어 ROAS는 순이익이 아니라, 매출액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 그럼, 제가 사용 하고 있는 계산법은 하기 표와 같은데요.
검토하시고, 본인 계산법이랑 같다고 하면, 이용 부탁 드립니다.
이렇듯, 항상 광고를 집행 하시기 전/후 ROAS, ROI를 계산을 하여 효율적인 광고 집행을 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스마트 스토어 자체적으로 ROAS를 확인 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통계 -> 마케팅 분석 -> 전체 채널 -> 마케팅채널별 비용 및 ROAS (기여도추정)
에서 확인을 할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광고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전 블로그에서 기재 하였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고 부탁 드립니다^^
https://pipeline2020.tistory.com/4
네이버 키워드 광고 꿀팁 - 2 네이버 광고 3/4순위를 노려라.
네이버 키워드 광고 꿀팁 - 2 안녕하세요, 전편인 네이버 키워드 광고 꿀팁 - 1 에서는 키워드별 단가를 다르게 설정하여, 효율적인 광고비 지출에 관해서 이야기 했어요. 전편에서도 말씀 드렸던
pipeline2020.tistory.com
https://pipeline2020.tistory.com/5?category=867860
네이버 키워드 광고 꿀팁 - 3 품질 지수를 높혀라
네이버 키워드 광고의 핵심 "품질 지수"를 높혀라. 네이버 광고 꿀팁 2에서 다루었던 내용에서, 제품 입찰가를 파악한 후 노출 순위 3,4위를 노리라고 말씀을 드린적이 있습니다. 제가 쓴 내용을 �
pipeline2020.tistory.com